비문증, 망막 열공 걱정된다면? 산동 검사가 중요한 이유
비문증(날파리증)이나 망막 열공(망막에 구멍이 생기는 현상)이 걱정된다면, 정기적인 안과 검사가 필수입니다.
특히 망막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산동 검사가 필수적인데요. 많은 분들이 산동 검사에 대한 불편함이나 오해 때문에 검사를 꺼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동 검사가 왜 중요한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아래 본문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산동 검사란?
산동 검사는 눈동자(동공)를 인위적으로 확장시켜 망막을 정밀하게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안약(산동제)을 점안하면 동공이 커지고, 이를 통해 안과 의사가 망막 및 시신경을 더 넓은 범위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산동 검사로 진단 가능한 질환
- 망막 열공 (망막에 구멍이 생기는 현상)
- 망막 박리 (망막이 분리되어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
- 비문증 (날파리 같은 그림자가 보이는 현상)
- 황반변성 (망막 중심부인 황반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
- 당뇨망막병증 (당뇨로 인해 망막 혈관이 손상되는 질환)
- 녹내장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시야가 점점 좁아지는 질환)
광각 안저 촬영(옵토스) vs 산동 검사 차이점
최근에는 광각 안저 촬영(옵토스)이라는 최신 장비를 활용한 검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옵토스 검사만으로는 산동 검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습니다.
검사 방법 | 장점 | 단점 |
---|---|---|
산동 검사 | - 망막의 모든 부분(100%)을 관찰 가능 - 작은 망막 열공도 발견 가능 |
- 안약을 넣어 동공이 커지므로 몇 시간 동안 눈이 부심 - 검사 후 일정 시간 동안 시야가 흐림 |
광각 안저 촬영 (옵토스) | - 동공을 키우지 않고 망막 80%까지 촬영 가능 - 빠르고 간편한 검사 |
- 망막의 주변부까지 완전히 확인할 수 없음 -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경우 한계가 있음 |
광각 안저 촬영(옵토스)은 빠르고 간편하지만, 망막 전체를 100% 볼 수 없기 때문에 산동 검사를 반드시 병행해야 합니다.
산동 검사가 꼭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반드시 산동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비문증(날파리증)이 최근 심해진 경우
- 빛이 번쩍이는 느낌(광시증)이 드는 경우
- 시야 일부가 가려지거나 어두워지는 증상이 있는 경우
- 당뇨병이 있어 망막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경우
- 고도근시(근시가 -6.0D 이상)로 망막이 약한 경우
산동 검사 후 주의해야 할 점
산동 검사는 신경을 자극하는 약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검사 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눈이 부시고 초점이 잘 맞지 않음 → 4~6시간 후 정상 회복
- 일시적으로 시야가 뿌옇게 보임
- 눈이 건조하거나 충혈될 수 있음
주의! 산동 검사 후에는 운전을 할 수 없으므로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합니다.
산동 검사의 부작용은 없을까?
대부분의 경우 산동 검사는 안전하지만, 아주 드물게 폐쇄각 녹내장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산동 검사 후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방문해야 합니다.
- 눈이 심하게 아프고 두통이 동반될 때
- 구토 증상이 있을 때
- 눈이 붉어지면서 통증이 지속될 때
이러한 증상은 극히 드문 경우에 발생하며, 병원에서 빠르게 조치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광각 안저 촬영(옵토스)과 달리 망막 전체(100%)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검사이므로 비문증, 광시증 등의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검사 후 4~6시간 동안 눈부심과 시야 흐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운전을 피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백내장 수술 후 뿌옇게 보인다면? 후발 백내장 증상, 치료방법
백내장 수술 후 뿌옇게 보인다면? 후발 백내장 증상, 치료방법
백내장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시야가 다시 뿌옇게 변하는 증상을 경험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현상을 후발 백내장이라고 하는데, 백내장이 재발한 것이 아니라 수정체 주머니의 혼탁 때문
coloring.buradeo.com
▼ 망막 전막이란? 증상, 원인, 치료 및 수술 시기는 언제가 적절할까?
망막 전막이란? 증상, 원인, 치료 및 수술 시기는 언제가 적절할까?
망막 전막은 망막 앞에 비정상적인 막이 형성되어 시력 저하, 사물의 왜곡, 시세포 손상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대부분 노화로 인해 발생하며, 진행 속도가 개인마다 다르지만 심한
coloring.buradeo.com
▼ 단초점 백내장 수술 vs 다초점 백내장 수술 차이점 및 내게 맞는 렌즈는?
단초점 백내장 수술 vs 다초점 백내장 수술 차이점 및 내게 맞는 렌즈는?
백내장 수술을 고민할 때 가장 중요한 선택 중 하나가 바로 단초점 렌즈와 다초점 렌즈 중 어떤 렌즈를 삽입할 것인가입니다. 단초점 렌즈는 선명한 시야를 제공하지만, 특정 거리만 잘 보이므
coloring.buradeo.com
정리하자면, 망막 질환은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합니다. 산동 검사가 필요한 경우, 불편하다고 미루지 말고 반드시 받아 건강한 눈을 지키세요!
- 산동 검사는 망막 및 시신경을 100%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 광각 안저 촬영(옵토스)로는 산동 검사를 대체할 수 없음
- 비문증, 망막 열공, 황반변성 등이 의심되는 경우 꼭 받아야 함
- 검사 후 4~6시간 동안 눈부심 및 시야 흐림이 있을 수 있음
- 운전은 피하고, 대중교통 이용 권장
FAQ
산동 검사는 왜 필요한가요?
조기 진단이 늦어지면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정기적인 검사가 중요합니다.
산동 검사 후 시야가 흐려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반적으로 4~6시간 후 자연스럽게 회복되며, 이 시간 동안 운전을 피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동 검사와 광각 안저 촬영(옵토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빠르고 간편하지만, 망막의 주변부까지 완벽히 확인할 수 없어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산동 검사를 병행해야 합니다. 산동 검사는 망막 전체(100%)를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산동 검사 후 어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나요?
또한 일시적으로 눈이 건조하거나 충혈될 수 있으며, 보통 4~6시간 내에 회복됩니다.
산동 검사 후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또한, 강한 햇빛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산동 검사 후 부작용이 있을 수 있나요?
만약 검사 후 극심한 안통, 두통, 구토, 심한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유용한 생활정보 및 건강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속 번쩍거림(광시증), 자연스러운 현상일까? 원인과 대처법 (0) | 2025.02.13 |
---|---|
산동 검사 부작용 걱정된다면? 검사 후 나타나는 증상과 해결법 (0) | 2025.02.13 |
백내장 수술 시 단초점 렌즈 선택해야 하는 이유 및 장점 총정리 (0) | 2025.02.13 |
단초점 백내장 수술 vs 다초점 백내장 수술 차이점 및 내게 맞는 렌즈는? (0) | 2025.02.13 |
백내장 수술 후 뿌옇게 보인다면? 후발 백내장 증상, 치료방법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