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 가족은 부모 중 한 명과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을 의미하며, 정부에서는 이들에게 경제적 지원과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2025년에는 기존보다 완화된 기준과 새로운 지원 정책이 적용되면서 더 많은 한부모 가족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득, 재산, 자동차 기준이 조정되었으며, 근로소득 공제 기준도 확대되었습니다. 2025년 한부모 가족 지원 기준을 상세히 살펴보고, 지원을 받기 위한 요건과 절차를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 및 혜택
한부모 가족의 정의 및 지원 대상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자가족: 어머니가 세대주로서 미성년 자녀를 부양하는 경우
- 부자가족: 아버지가 세대주로서 미성년 자녀를 부양하는 경우
- 조손가족: 부모가 사망, 행방불명, 경제적 이유로 자녀를 부양할 수 없는 경우 조부모가 손자녀를 키우는 경우
- 청소년 한부모 가족: 24세 이하의 미혼 부모가 미성년 자녀를 부양하는 경우
한부모 가족 혜택
한부모 가족으로 선정되면 다양한 경제적 및 복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아동양육비 지원: 미성년 자녀(18세 미만) 1인당 월 23만 원 지원
- 청소년 한부모 추가 지원: 만 24세 이하의 청소년 한부모에게 월 37만 원 지급
- 조손가족 및 차상위 한부모 추가 지원: 추가 5만 원~10만 원 차등 지급
- 학용품비 지원: 연 9만 3,000원 지급
- 자립 지원: 검정고시 학습비 지원, 직업훈련 및 법률 상담 지원
- 공공임대주택 및 주거 지원: 한부모 가족 전용 공공임대주택 신청 가능
2025년 한부모 가족 소득 기준
한부모 가족 소득 인정 기준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이 되려면 가구의 월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 63% 이하(청소년 한부모는 72% 이하)여야 합니다.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63%) | 청소년 한부모 기준 (72%) |
---|---|---|
2인 가구 | 247만 7,575원 | 282만 9,192원 |
3인 가구 | 316만 1,507원 | 360만 4,464원 |
4인 가구 | 384만 5,439원 | 438만 1,736원 |
근로소득 공제 기준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 일정 부분을 공제하여 실제 소득 인정액을 줄여줍니다.
- 근로소득의 30% 공제
- 청소년 한부모(24세 이하)는 추가 공제 적용
- 30세 이상 한부모는 추가 20만 원 공제
- 29세 이하 한부모는 추가 40만 원 공제
예를 들어, 2인 가구 한부모가 월 300만 원을 벌 경우
- 29세 이하 한부모: 300만 원 – 40만 원 공제 = 260만 원
- 추가 30% 공제 적용 → 260만 원 × 0.7 = 182만 원 (소득 기준 충족)
즉, 실질적인 월소득이 400만 원 이상이라도 공제 후 기준에 맞출 수 있으므로, 포기하지 말고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5년 한부모 가족 재산 기준
재산 기준
재산 기준은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며, 기본 재산 공제를 제외한 순 재산 금액이 기준 이하여야 합니다.
지역 | 재산 기준 |
---|---|
서울 | 9,900만 원 |
경기도 | 8,000만 원 |
광역시 | 7,700만 원 |
그 외 지역 | 5,300만 원 |
예금, 부동산, 차량 가치 등을 합산한 금액이 해당 기준을 초과하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2025년 한부모 가족 자동차 기준
자동차 기준
자동차의 연식과 가액에 따라 지원 대상 여부가 결정됩니다.
- 승용차 1600cc 미만 & 10년 이상된 차량 → 기준 충족
- 차량 가액 1,000만 원 미만 → 기준 충족
예를 들어, 2015년식 차량이라면 연식 10년 이상 조건을 만족하여 한부모 가족 신청에 문제가 없습니다.
2025년 한부모 가족 지원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모자가족, 부자가족, 조손가족, 청소년 한부모 가구 등이며,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 63% 이하(청소년 한부모는 72% 이하)로 설정되었습니다.
또한 근로소득 공제 확대, 재산 기준 완화, 자동차 기준 조정 등의 변화로 지원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아동양육비, 학용품비, 주거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되므로 해당되는 경우 반드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하자면, 2025년 한부모 가족 지원 기준은 기존보다 완화되어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 63% 이하이며, 근로소득 공제 확대로 실질적인 월 소득이 높더라도 신청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재산 및 자동차 기준도 완화되었으므로, 자신이 해당될 가능성이 있다면 꼭 신청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FAQs
2025년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지원 대상은 미성년 자녀를 부양하는 모자가족, 부자가족, 조손가족, 청소년 한부모 가구(24세 이하)가 포함됩니다. 단, 소득 및 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한부모 가족의 소득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 63% 이하(청소년 한부모는 72% 이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3인 가구 기준으로 한부모 가정은 월 316만 1,507원 이하, 청소년 한부모는 360만 4,464원 이하일 경우 지원 대상이 됩니다.
근로소득 공제 기준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근로소득의 30%를 공제하며, 29세 이하 한부모는 추가 40만 원, 30세 이상은 추가 20만 원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실소득이 높아도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재산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재산 기준은 지역별로 다르며, 서울 9,900만 원, 경기도 8,000만 원, 광역시 7,700만 원, 기타 지역 5,3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예금, 부동산, 차량 가치 등을 합산한 순 재산이 기준을 초과하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소유 기준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자동차 기준은 연식 10년 이상이거나 차량 가액이 1,000만 원 미만이면 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승용차 1600cc 미만이면 기준 충족이 가능하므로 차량 조건을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