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다리 저림 통증 허리 디스크일까? 협착증일까? 통증 원인 총정리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저리는 통증은 많은 사람들이 허리 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을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합니다.
 
단순한 허리 문제뿐만 아니라 근육, 혈관 문제까지 고려해야 하며, 정확한 원인을 알아야만 올바른 치료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엉덩이와 다리로 퍼지는 통증의 다양한 원인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엉덩이, 다리로 내려가는 통증, 대표적인 원인 3가지


엉덩이에서 다리로 이어지는 저림이나 통증은 크게 세 가지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원인을 정확히 이해해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1. 허리 디스크 또는 척추관 협착증

가장 흔한 원인은 바로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입니다.
 
허리 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입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나이가 들면서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이 눌리는 상태를 말합니다.
 
디스크의 경우, 갑자기 엉덩이부터 다리 뒤쪽으로 찌릿하거나 타는 듯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척추관 협착증은 걷다가 다리가 저리고 힘이 빠지는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증상이 겹치는 경우도 많아 전문적인 진단이 필요합니다.

  •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 저림 발생
  • 걷다가 다리가 저리고 멈추면 좋아지는 경우 척추관 협착증 의심
  • MRI 등 영상 검사가 필수

2. 이상근 증후군 (Piriformis Syndrome)

이상근 증후군은 허리 문제가 아닌 엉덩이 근육, ‘이상근’이라는 깊은 근육이 긴장하거나 뭉쳐서 좌골신경을 자극하는 질환입니다. 오래 앉아 있거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는 허리 MRI 상에서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며, 엉덩이 깊숙한 곳을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스트레칭이나 물리치료, 때로는 보톡스 주사 치료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주로 오래 앉아 있을 때 악화
  • 허리 검사상 특별한 이상 없음
  • 스트레칭, 주사 치료로 개선 가능

3. 혈관 질환 (하지 혈전증 등)

세 번째 원인은 허리나 근육 문제가 아니라 혈관 문제입니다. 대동맥이나 하지로 내려가는 주요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질 경우, 다리에 통증과 저림, 심지어 붓기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
 
혈관성 문제는 특히 흡연, 고혈압, 당뇨병 등이 있는 중장년층에서 주의해야 하며,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혈관 초음파나 CT 혈관 조영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리 붓기, 화끈거림 동반
  • 흡연자, 당뇨환자는 특히 주의
  • 혈관 초음파, CT 검사 필요

 

 

 

엉덩이, 다리 저림 통증, 검사는?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이어지는 저림이나 통증이 있다면, 가장 먼저 허리 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두 가지가 전체 환자의 80~90%를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MRI나 CT 검사를 통해 신경 압박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이 없다면, 그 다음으로 이상근 증후군이나 혈관 질환 가능성을 살펴봐야 합니다. 잘못된 초기 접근으로 시간을 허비하지 않으려면, 척추 전문의와 혈관 전문의를 모두 볼 수 있는 곳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잘못된 진단이 치료를 늦출 수 있다

임상에서는 디스크 문제를 이상근 증후군으로 오진하거나, 반대로 이상근 문제를 디스크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근 증후군이라고만 진단받고 오랫동안 잘못된 치료를 받다가 결국 디스크 진단을 받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 오류를 막으려면, ‘엉덩이와 다리로 이어지는 통증’이 있을 때 반드시 허리에서 신경이 눌리고 있는지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통해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만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저리는 통증은 허리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이상근 증후군, 혈관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허리 디스크와 협착증이지만, 허리 MRI가 정상이라면 이상근 증후군이나 혈관 문제를 의심해야 합니다. 빠른 진단과 정확한 원인 파악이 조기 치료의 핵심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