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대상자, 납부기한, 연장 조건 총정리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는 연 1회 1월에만 한다고 알고 있다면, 2025년 7월은 꼭 다시 확인해봐야 합니다.
일부 간이과세자는 7월에도 의무적으로 신고·납부해야 하며, 국세청에서 납부기한을 ‘자동 연장’해주는 조건도 따로 존재합니다. 헷갈리기 쉬운 신고 대상자, 납부 기한, 업종별 부가가치율, 홈택스 신고 방법까지 아래 본문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란?
간이과세자란 연 매출이 1억 400만 원 미만인 소규모 사업자를 말하며, 일반과세자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부가세를 신고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
간이과세자는 기본적으로 매년 1월에만 부가세를 신고하지만, 2025년에는 예외적으로 7월에도 신고해야 하는 대상자가 존재합니다.
- 부가세율: 업종별 1.5%~4% 수준
- 세금계산서 발급: 일부 업종만 가능
- 매입세액 공제: 공급대가의 0.5% 한도
- 기본 신고 시기: 1월 1일~1월 25일 (연 1회)
2025년 7월 간이과세자 신고 대상자는 누구?
모든 간이과세자가 7월에 신고하는 것은 아니며,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고 대상이 됩니다.
- 2025년 1~6월 중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간이과세자
-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된 경우
- 예정 고지세액이 있는 경우 (예정부과 대상자)
신고 마감일은 2025년 7월 25일(금)까지이며, 이 기한까지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납부기한, 자동 연장되는 사람은?
2025년에는 내수 경기 위축 등을 감안해, 일부 간이과세자의 부가세 납부기한을 국세청이 자동으로 9월 25일까지 연장합니다.
단, 자동 연장은 ‘신고 기한’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7월 25일까지는 반드시 신고를 마쳐야 합니다.
자동 연장 대상 요약
대상 조건 | 대상자 수 | 연장 납부기한 |
---|---|---|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0% 이상 감소 | 약 40만 명 | 9월 25일 |
수출기업 중 매출 감소 | 약 1.8만 명 | 9월 25일 |
음식·숙박·소매업 종사 간이과세자 | 약 14.5만 명 | 9월 25일 |
위 조건에 해당하면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연장되며, 납부만 9월까지 유예됩니다.
업종별 부가가치율 확인은 필수
간이과세자는 업종별로 부가가치율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업종에 따라 세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2021.7.1 이후 업종별 부가가치율
업종 | 부가가치율 |
---|---|
음식점업, 소매업, 재활용업 | 15% |
제조업, 농어업, 운송업 | 20% |
숙박업 | 25% |
건설업, IT업, 운수업 | 30% |
부동산, 전문직 서비스업 | 40% |
세액 계산 예시
- 납부세액 = 매출액 × 부가가치율 × 10% – 매입액 × 0.5%
예) 음식점업(15%)에서 매출이 3천만 원, 매입이 1천만 원일 경우 → 3,000만 × 15% × 10% – 1,000만 × 0.5% = 45만 – 5만 = 40만 원 납부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
간이과세자는 아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홈택스 (www.hometax.go.kr)
- 손택스 앱 (모바일)
- ARS 간편 전화 신고 ☎ 1544-9944 (실적 없는 경우)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경우, 신고서에 자동 반영되며 수정 없이 제출 가능하고, 부동산 임대업자의 경우 월세 금액도 자동 입력됩니다.
납부기한은 매출 감소나 업종 조건에 따라 9월 25일까지 자동 연장될 수 있지만, 신고는 반드시 7월 중에 해야 합니다. 업종별 부가가치율 확인과 홈택스 신고 방법을 미리 숙지하면 정확한 세금 처리가 가능합니다.
아래 글을 함께 읽어보세요
▼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확정! 월급, 주휴수당, 야간수당, 실수령액 총정리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확정! 월급, 주휴수당, 야간수당, 실수령액 총정리
2026 최저시급 인상이 확정되면서 알바생, 계약직 근로자, 소상공인 등 다양한 계층의 관심이 높아졌습니다.시급이 오르면 월급뿐만 아니라 주휴수당, 야간수당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coloring.buradeo.com
▼ 2025 재산세 계산법 총정리! 1주택자, 다주택자 차이까지 한눈에!
2025 재산세 계산법 총정리! 1주택자, 다주택자 차이까지 한눈에!
2025 재산세 계산법은 다가오는 1기분 납부기간(7월 16일~30일)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는 주제입니다. 1주택자와 다주택자의 과세 방식이 달라 혼동이 생기기 쉬운데요. 서울 기준으로 재
coloring.buradeo.com
▼ 전국민 25만원 지원금 소비쿠폰 지급 대상, 신청 일정, 사용 가능 업종 총정리
전국민 25만원 지원금 소비쿠폰 지급 대상, 신청 일정, 사용 가능 업종 총정리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2025년 정부가 전국민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대표적인 경제 활성화 정책입니다. 1차로 최대 45만 원, 2차까지 합하면 최대 55만 원의 지원금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이를 놓치
coloring.buradeo.com
정리하자면, 2025년 7월 간이과세자 중 일부는 반드시 부가세를 신고해야 하며, 자동 연장 조건이 있는 경우에도 신고는 7월 25일까지 해야 합니다.
업종별 부가가치율과 홈택스 활용법까지 체크하면 실수 없이 신고를 마칠 수 있습니다.
FAQ
2025년 7월에 모든 간이과세자가 부가세를 신고해야 하나요?
자동 연장 대상이라면 신고도 늦춰도 되나요?
업종별 부가가치율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간이과세자도 홈택스로 신고할 수 있나요?
부가세 납부세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개인회생, 신용정보 1년 후 삭제 가능? 개인회생 제도 완전 정리 (0) | 2025.07.14 |
---|---|
재산세 분할 납부 방법과 카드 무이자 혜택 정리 (0) | 2025.07.14 |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확정! 월급, 주휴수당, 야간수당, 실수령액 총정리 (0) | 2025.07.14 |
2025년 7~8월 한시 전기요금 인하! 350kWh 기준 가정용 전기요금 총정리 (0) | 2025.07.14 |
2025 재산세 계산법 총정리! 1주택자, 다주택자 차이까지 한눈에! (0) | 2025.07.14 |